오늘은 저희 <유레인 비즈>에서 의뢰 받아 진행했던 Global Market Research 실적을 살짝 들여다보려고 합니다.
해당 리서치의 대상은 아래와 같습니다.
해외시장조사 보고서 사례 - 바이오세라믹
우선 Bioceramic에 대해 낯선 분들을 위하여 간단한 설명을 드리고 시작해야 할 것 같습니다.
Bioceramic은 생체친화성이 우수하여 생체에 이식하였을 때, 뼈와 강한 결합을 통해 대체 역할을 하거나, 인공관절로 활용되는 등 주로 의료용으로 활용되는 소재입니다.
이번 의뢰사는 해당 분야에 신규 비즈니스 모델을 준비 중이셨고, 구체적인 현황 자료가 필요하셨습니다.
물론 사내에서 해당 분야에 대한 기초 리서치는 진행했지만, 보다 객관적인 데이터 확보를 위해 <유레인 리서치>로 문의를 주셨습니다.
본 리서치 결과물의 많은 부분을 여러분께 공개해드리면 좋겠지만 정보보호를 위해 제한된 내용만 포스팅하는 점을 양해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. ^^
공개가 가능한 일부를 다음 문단부터 기술해 나가겠습니다.
Bioceramic은 최근에 생명공학기술, 나노기술, 정보기술 등 산업의 고도화에 따라서 다기능성, 고성능 소재로 의료용 소재에 대한 니즈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입니다.
Grand View(2016)의 자료에 따르면 Bioceramic 시장의 규모는 '16년 132.8억 달러에서 '20년 168.9억 달러로 연평균 6.2%의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.
기업별로 살펴볼 경우 CeramTec, Depuy 등의 미국기업이 26개사로 가장 많으며 Smith & Nephew와 같은 유럽기업이 22개사로 2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.
한편, 건강보건심사평가원(2016) 자료에 따르면 국내 시장의 경우 '16년 3,705억 원에서 '20년 4,252억 원으로 연평균 3.5%의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. 국내의 경우 제품의 종류는 다양하지 않으나 생산 업체는 많은 편으로 치과용 임플란트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.
한국세라믹 기술원(2016)에 따르면 국내 Bioceramic의 기술 수준을 타 선진국과 비교할 경우 일반적인 제조기술 수준은 80% 정도로 평가되고 있으며, 고기능성 소재 및 표면 활성용 소재 기술의 경우 약 70% 수준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.
앞으로 고령화 사회진입에 대한 시장 확대와 높은 투자대비 효율성으로 인해 앞으로 Bioceramic 소재 시장은 더욱 성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.
따라서 국내의 우수한 의료진과 연구기관의 연구능력를 활용한 적극적인 기술 개발과 함께 관련법규와 미비한 표준화를 정비한다면 시장 경쟁력 제고 효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.
또한, 외국계 기업이 대부분 점유하고 있는 국내 인공관절 시장의 경우 한국인의 체형에 적합한 형태의 국산화 개발을 진행시킨다면 큰 수입대체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집니다.
다양한 분야에 대한 맞춤형 마켓리서치가 필요하시면 문의주십시오!
전화 : 02-6401-6468
이메일 : urain@urain.kr
웹사이트 : research.urain.kr
'사업 실적 > 조사/분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모바일 시장조사 보고서 - 전세계 mobile 금융 현황분석 (0) | 2017.12.04 |
---|---|
이슈보고서 제작 사례 - 아마존의 Whole Foods 인수 (0) | 2017.10.16 |
해외시장조사 사례 - 전세계 EV 충전 서비스 현황 분석 (0) | 2017.08.30 |
시장동향 리서치 사례 - 빅데이터 활용 실태조사 (0) | 2017.08.29 |
시장분석보고서 용역 사례 - 4차산업 드론 (0) | 2017.08.25 |
댓글